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K패스 전환 안내

arynade 2024. 3. 26. 11:23
반응형

알뜰교통제도는 2024년 4월 30일부로 종료가 됩니다. 그리고 5월 1일부터 K패스 전환으로 새로운 대중교통에 대한 할인 정책 사업이 시행됩니다.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혜택은 더욱 늘렸는데요. 간단하게 전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K패스 전환

 

 

K패스 전환

기존의 알뜰교통 앱을 들어가시면 K패스 전환 안내에 대한 팝업창이 뜨는 것을 보실 수 있게 됩니다. K패스는 어떤 특장점이 있으며, 전환은 어떻게 진행하는지, 사용 방법과 환급률은 어떻게 되는지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K패스 전환 목차

 

1. 적립률

2. 차이점

3. 전환 방법

4. 신규 이용자

 

 

이동거리와는 관계 없이 15회 이상(최대 60회) 대중교통을 이용하였을 경우 일정 비율에 대하여 환급을 해주는 제도가 K패스입니다. 중요한 것은 월 15회 미만 사용을 할 경우는 혜택이 적용되지 않으니 꼭 유의를 하시기 바랍니다. 

 

 

적립률

아래 표에 보이는 것과 같이 청년은 만 19세부터 34세까지를 말하며, 저소득층의 경우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의 확인이 가능한 서류들이 필요합니다. 

 

 

일반인의 경우 교통비 1,500원에 해당하는 버스를 30회(45,000원) 이용하였다면 45,000원에 대한 20%가 환급이 적용되어 9,000원을 환급받을 수 있게 됩니다. 여기에 카. 드사의 추가 할인까지 혜택이 더해진다면 금액이 적지 않다 할 수 있습니다.

 

K패스 일반 청년 저소득층
적립률 20% 30% 53.3%
적립금액(1,500원 기준) 300원 450원 800원

 

 

  • 적용 대상 : 시내버스,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
  • 지급 : 다음 달 이용자에게 환급하며 현금, 마일리지 등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K패스 전환

 

 

알뜰교통과의 차이점

알뜰교통카드는 아시다시피 이동거리에 비례를 하여 마일리지 형태로 환급을 해주는 제도였습니다. 그렇다 보니 이동거리를 체크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요. 앱을 이용하여 출발과 도착을 확인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기존의 할인 제도도 많게는 2만 원 정도까지 환급을 받기도 하였는데요. 하지만 이용에 대한 환급이 커지는 만큼 적립을 받는 과정의 불편함이 많이 생기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가끔은 같은 경로임에도 금액이 조금씩 달라지는 경우도 있었는데요. 아무래도 이러한 불편사항들의 개선이 필요함을 느끼고 새로운 대중교통 할인 제도가 등장하게 된 것 같습니다.

 

k패스는 어떨까요? k패스 전환하여 사용을 하게 되면 이동거리가 아닌 지출금액에 대하여 일정비율 환급이 되는 시스템이라 기존의 불편함이었던 출발과 도착에 대한 체크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보다 편리하게 변경이 되었죠. 

 

 

 

 

 

 

 

K패스 전환

 

 

전환 방법

기존의 알뜰교통 앱을 통하여 간편하게 전환을 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재발급 없이 전환만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방법은 아래와 같으니 천천히 따라 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알뜰교통앱의 우측 상단에 있는 세줄 모양을 선택하세요.
  2. K패스 > K패스 전환을 탭 하세요.
  3. 주소지 검증과 유효성 체크, 정보제공동의를 하신 후, 하단에 있는 K패스 전환 동의를 선택하시면 완료가 됩니다. 

정말 간편하게 K패스 전환이 되도록 만들었는데요. 매일 이용하게 되는 교통비를 이렇게 할인받을 수 있으니 너무도 좋은 시스템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빨리 신청하셔서 늦지 않게 혜택을 누리시리 바랍니다. 

 

 

신규 이용자

알뜰교통 제도를 이용하지 않고 있던 신규 이용자들은 5월부터 공식 누리집 또는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K패스 전환

 

 

 

K패스 전환  이후 5월이 되면 시내버스와 광역버스 외에 수도권 광역 급행철도와 신분당선, GTX-A 등에 대하여 적용범위를 넓힐 예정이라고 합니다. 전국 17개 시/도, 189개 시/군/구 되는데요. 많은 시민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